중얼중얼

2019.02.14. 성 치릴로 수도자와 성 메토디오 주교 기념일

지혜의 여신 2019. 2. 14. 12:43


여러분은 체면을 중하게 여기는 분이신가요? 자존심이 센 편인가요?

여러분은 어느 누군가를 위해 부끄러움을 감수하고, 체면 따위는 아랑곳하지 않고 무엇을 청해 본 적이 있나요?

사람은 누구나 얄팍한 자존심이 있어 그걸 상하는 것을 참으로 견디기 힘들어하지요. 내가 무시받고 있다고 느낄 때가 저는 가장 힘든 것 같아요. 여러분은 언제 가장 힘드신지요?

그런데 오늘 더러운 영에 사로잡힌 딸을 위해 "개같은 년(?)"이란 소리를 듣는 수모를, 그것도 만인이 존경하는 분으로부터 듣는 한이 있어도, 자존심보다는 딸에 대한 사랑을 택한 한 어머니의 믿음의 이야기를 듣습니다. "주님, 그러나 상 아래에 있는 강아지들도 자식들이 떨어뜨린 부스러기는 먹습니다."(마르 7,28)

"아, 아직 난 멀었구나! 얄팍한 자존심을 잃지 않으려 용을 쓰기보다 사랑 때문에 스스로 비천하고
낮은 자가 되지 않고선 그분의 자비와 충만한 은총을 기대하지 못하겠구나!" 생각해 봅니다.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대접받지 못해 아파만할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작은 자 됨으로써 더 사랑하는 오늘을 만들어야 하겠습니다. 벗님은 오늘 누구를 위해 자존심을 버리고 낮은 자 되는 희생을 바치겠습니까?

예수님은 당신의 신원과 사명에 대한 이해가 백성들에게 올바로 형성되기까지 섣부르게 알려지기를 원하지 않으시지만 그럴 수 없었습니다. 유다인뿐 아니라 이방인까지 소문을 듣고 찾아오게 된 것을 보면 이미 예수님은 숨을 수 없는 존재가 되어버리셨던 겁니다. "아무에게도 알려지기를 원하지 않으셨으나 결국 숨어 계실 수가 없었다."(마르 7,24) 그렇습니다. 빛은 아무리 감추려해도 드러나기 마련입니다. 덕행도 아무리 감추어도 드러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성인은 스스로 자기를 드러내려 애쓰지 않습니다. 그의 성덕은 감출수록 더 널리 알려지게 됩니다.

예수님과 이방 여인 사이에 오간 대화에서 예수님의 말씀이 종종 후대의 우리에게 감정적인 논란거리를 주지만, 중요한 건 여인이 간절한 청원과 용기, 겸손으로 결국 원하는 바를 얻어냈다는 사실이지요.

예수님의 여러 기적 사화들에서 보듯 예수님께서는 청하는 이가 "믿는 대로" 이루어 주십니다. 그러고는 "네 믿음이 너를 구원했다."고 격려해 주시지요. 이 자리에서는 이방 여인에게 그의 말이 이루어질 것임을 확증해 주십니다. "네가 그렇게 말하니, 가 보아라."(마르 7,29)

우리가 창조 설화에서 보았듯이, 하느님의 말씀은 발설과 동시에 이루어집니다. 또 이사야 예언자를 통해 "내 입에서 나가는 나의 말도 나에게 헛되이 돌아오지 않고, 반드시 내가 뜻하는 바를 이루며 내가 내린 사명을 이루고야 만다."(이사 55,11)고 하셨듯이, 하느님의 말씀은 꼭 이루어지게 마련입니다.

놀랍게도 사람은 하느님의 모습대로 지음 받을 때 이 힘도 얼마간 나누어 받은 것 같습니다. "사람이 생물 하나하나를 부르는 그대로 그 이름이 되었다."(창세 2,19)고 하니까요. 하느님께서는 온갖 짐승을 사람에게 데려가 이름을 지어주게 하시는데, 그가 각 생명체에게 말 한 내용, 곧 이름이 그의 정체성이 됩니다. 이 명명 작업의 위임은 하느님께서 사람이 받은 말의 능력을 믿어주셨기에 가능한 것이었습니다.

예수님께서도 "네가 그렇게 말하니" 하시며, 여인의 진정 어린 고백에 어떤 토도 달지 않고 함께 원하고 동의하신다는 존중의 마음을 드러내십니다. 태초에 인간이 나누어 받은 말씀의 힘을 아시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대로 이루어지지요.

비록 완전할 수는 없어도, 사람이 온 마음을 다해 믿고 고백하고 청할 때, 그 말은 이루어지는 힘이 있습니다. 이를 허락하신 분께서 함께 원하시기 때문입니다. 오늘 우리도 이렇게 청해보아야 하겠습니다. 우리는 알렐루야를 노래하면서 이렇게 되새겼습니다. "너희 안에 심어진 말씀을 공손히 받아들여라. 그 말씀에는 너희 영혼을 구원할 힘이 있다."(야고 1,21) 아멘. 알렐루야.

오늘 세인들은 발렌타인데이를 지냅니다. 그 유래는 좀 씁쓸하지만 사랑하는 연인들에게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는 의미있는 날이 되길 빕니다. 그래서인지 저는 오늘 창세기의 이 말씀이 마음에 와 닿았습니다. “사람이 혼자 있는 것이 좋지 않으니, 그에게 알맞은 협력자를 만들어 주겠다.”(창세 2,18) 하느님께서 친히 하신 말씀입니다. 이 세상을 살아가는 한, 인간은 항상 고독하고 외로운 존재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인간 창조 때부터 인간의 이러한 외로움을 아시고 협력자를 만들어 주십니다.

부부와 연인은 그래서 하느님이 주신 최고의 선물이요 협력자입니다. 저희같은 수도자에게도 외롭지 않게 도반들을 협력자로 주십니다. 사람 인(人)자가 말해주듯이, 사람은 그 협력자의 지탱 없이는 홀로서기를 할 수 없는 존재입니다. 오늘 하느님께서 나를 위해 주신 나의 협력자에게 깊이 감사하며 초콜릿이 아니라 진정 고마운 마음을 담아 주모경 한번씩 바쳐 주시기를 빕니다. 그리고 오늘 이 축제의 이면의 주인공인 안중근(도마) 의사도 함께 기억하는 날이 되기를 빕니다. 아멘.

출처: 알타반의 말씀사랑 (http://altaban.egloos.com/m/2234106)